This website uses cookies that are
required for operations.

You may allow or block some items through cookie settings.
For more details, please check the Cookie Policy

비스테이지, MAU 100만명 돌파∙∙∙“전 세계 코어 팬덤에 사용성 입증”

ENKR
  • 비스테이지, 한국, 미국, 일본 등서 성공적으로 글로벌 고객사 확보하며 MAU 급속 성장
  • 224개국 사용자 분포·리텐션 70% 높은 충성도 증명하며 글로벌 입지 강화
  • 비스테이지로 전 세계 팬덤이 있는 누구나 팬덤 비즈니스 가능하도록 정진할 것

2024년 5월 14일 (화) - 팬덤 비즈니스 토탈 솔루션 ‘비스테이지(b.stage)’가 월간 활성화 이용자 수(MAU) 100만 명을 돌파했다고 14일 밝혔다. 2022년 4월 정식 서비스 출시 이후 2년 만에 달성한 성과다. 비스테이지는 가파른 월간 활성 이용자 수 증가세에 따라 서비스 고도화 및 다양한 분야에서 고객사를 확보해 성장세를 이어갈 계획이다. 

비스테이지는 고객사의 글로벌 팬덤 비즈니스를 위한 솔루션으로 콘텐츠 관리, 커뮤니티 구축, 멤버십 서비스 운영, 글로벌 커머스, 라이브 스트리밍, 실시간 양방향 소통 등 다양한 기능과 IP 비즈니스 및 컨설팅 등 다각화된 비즈니스 솔루션을 제공한다. 현재 전 세계 224개국에서 비스테이지로 구축된 팬덤 플랫폼에 방문했고 글로벌 사용자를 확보해 나가며 명실상부한 글로벌 팬덤 플랫폼으로 입지를 강화해나가고 있다. 

특히, 비스테이지의 사용자 데이터는 팬덤 비즈니스를 전개하는 고객사가 직접 구축한 단독 플랫폼에 모인 트래픽이라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고객사가 직접 팬덤 데이터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에 코어 팬덤이 모여 활동하고, 팬덤의 반응을 데이터로 분석해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4월 기준 비스테이지로 구축된 활성 팬덤 플랫폼들의 리텐션(사용자 유지율)은 70% 수준으로, 충성도 높은 팬덤이 비스테이지에서 활동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비스테이지는 코어 팬덤의 높은 충성도에 힘입어 한국과 미국, 일본 등 글로벌 거점을 중심으로 K-POP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팬덤 비즈니스 인프라로써 점유율을 빠르게 높이고 있다. 국내외 130개 이상의 고객사가 비스테이지를 도입해 팬덤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K-POP과 엔터테인먼트 영역을 넘어 e스포츠, 배우,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로 팬덤 비즈니스 모델 전파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기영 비마이프렌즈 공동대표는 “비스테이지 서비스 안정성과 팬덤 비즈니스의 글로벌 확장성을 입증하기 위해 노력해온 결과, 더 많은 분야의 고객사들과 글로벌 팬덤 비즈니스 확장에 나설 수 있었다. 또, 그만큼 글로벌 팬덤의 유입도 빠르게 증가했다”며 “앞으로도 전 세계 팬덤이 있는 누구나 비스테이지로 성공적인 팬덤 비즈니스를 전개할 수 있도록 팬덤 비즈니스 로직 전파를 위해 정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비마이프렌즈는 CJ㈜·CJ 올리브네트웍스·새한창업투자·주식회사 GS·드림어스컴퍼니 등 국내 대기업 및 투자사와 미국 벤처캐피털 ‘클리블랜드 애비뉴(Cleveland Avenue)’ 등 국내외에서 총 379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하며 글로벌 팬덤 비즈니스를 이끄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최근 미국에 이어 일본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선 비스테이지는 일본의 K-컬처 커뮤니티 ‘도쿄 신오오쿠보 닷컴’, 일본 아이돌 그룹 ‘엔진(ENJIN)’, ‘바나나레몬(BananaLemon)’ 등 다양한 글로벌 고객사를 성공적으로 영입하며, 팬덤 비즈니스의 글로벌 확장성을 입증해 나가고 있다.
Share this!
NaverLinkedin
List